총 게시물 1,752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목록
[경제]

캐나다 34%,금리인상이 미칠 재정적인 손실에 대해 우려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9-08 (금) 16:01 조회 : 47859
글주소 : http://wwe.cakonet.com/b/B04-1659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최근에 발표된 새로운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캐나다인들 중에서 약 3분의 1은 중앙은행이 최근에 금리를 인상한 것이 자신들의 재정에 타격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했으며 4분의 3 정도는 지난 3년 동안에 생활비가 상승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럼 리서치가 1,150명의 캐나다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해당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34퍼센트는 지난 7월에 중앙은행이 금리를 0.25퍼센트 인상한 것이 자신들의 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변했으며 특히 그 중에 12퍼센트는 이로 인해 매우 극심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 것으로 밝혀졌다.

포럼 리서치의 분석가인 게리 밀라코비치씨는 “캐나다인들 중에서 상당수가 금리인상이 미칠 재정적인 손실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또한 35세에서 44세 사이의 응답자들 중에서 44퍼센트는 이번 금리인상이 자신들의 재정생활에 어느 정도, 혹은 매우 큰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내다봤다.

소득계층별로 볼 때 특히 6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사이의 연간 수입을 올리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근심이 큰 것으로 집계됐는데 구체적으로 연평균 소득이 6만 달러에서 8만 달러 사이에 속하는 계층의 39퍼센트가 금리인상으로 인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8만 달러에서 10만 달러의 소득층들 중에서는 41퍼센트가 이에 동의한다고 답변한 것으로 조사됐다.

리처 LLP 소속의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호건씨는 “현재의 높은 가구부채를 고려할 때 일부 캐나다인들이 금리인상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크게 느끼는 것은 전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일부 시중은행들이 프라임 금리를 인상한 것을 이미 목격했다. 이로 인해 집을 소유하는 데 따른 비용이 더욱 커진 것은 사실이다”라고 덧붙였다.

MD 파이낸셜 매니지먼트의 패트릭 에르콜라노 매니저는 아직까지는 금리인상으로 인해 이자의 증가는 미미한 편에 속한다고 밝혔다.

그는 25년 상환으로 50만 달러의 모기지를 빌렸을 경우 매달 지불되는 금액은 75달러가 늘어난 것에 불과하다고 말하며 변동금리가 아닌 고정금리로 모기지를 빌린 경우에는 향후에 갱신을 할 때에 부담이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에르콜라노씨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다시 말해서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포럼 리서치의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 중에서 70퍼센트 이상은 지난 3년 동안 생활비 부담이 증가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온타리오주(77퍼센트)와 알버타주(78퍼센트), 그리고 비씨주(79퍼센트)의 경우 생활비 부담이 증가했다고 답변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퀘벡주와 마니토바주, 그리고 사스카츄완주의 경우에는 생활비에 대한 부담이 오히려 감소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드러났다.

캐나다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중앙은행이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릴 것이란 데에는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하고 있지만 금리인상의 속도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차이가 존재한다.

일부는 올해 안에 중앙은행이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지만 높은 캐나다 달러로 인한 악영향과 가구부채에 대한 우려로 인해 금리인상을 점진적으로 시행할 것이며 따라서 올해에는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을 것으로 내다보는 경제학자들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이 사실이다.

캐나다인들은 낮은 금리를 활용하여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최근에 발표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 가구는 평균적으로 가용소득 대비 170퍼센트에 가까운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다시 말해서 1달러를 벌 때마다 1.70달러를 빚을 지고 있다는 뜻으로 이런 상태에서 금리가 오를 경우 당연히 이자에 대한 부담은 커지게 된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물 1,752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이민/교육
캐나다의 친 이민정책에 힘입어 밴쿠버가 실리콘벨리에 이은 하이테크 기업들의 새로운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밴쿠버는 미국과 비교해 집값이 비싼데다 연봉도 낮다 보니 해외 우수인재 유치 경쟁에서 …
08-14
사회/문화
안젤리크 벨제비크씨는 곧 버나비의 에드먼즈 지역으로 이사를 갈 예정이다. 자신을 “자녀가 없는 대신 고양이 한 마리를 키우고 있는 독신여성”이라고 소개한 그는 혼자서 사는 것이 전혀 외롭지 않다고 밝…
08-14
사회/문화
헬렌 가우빈씨와 그의 파트너인 안드레 자우빈씨는 무려 37년 동안이나 동거를 하고 있을 뿐 아니라 3명의 자녀도 함께 키우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공식적으로는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들 …
08-13
경제
캐나다 에너지 업체 트랜스캐나다에서 향후 LNG 가스 수요와 생산량 증가에 대비해 동남부 운송용량 확장사업 투자에 집중할 방침을 밝혔다. 트랜스캐나다 관계자는 시추비용 감소와 시장 수요증가로 서부지역 …
08-13
경제
캐나다의 6월 산업상품 및 원자재 가격지수(IPPI)가 전월대비 1.0%, 원자재 가격지수(RMPI)도 3.7%의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가솔린(-4.0%), 디젤(6.1%), 경등유(-5.6%) 등 에너지 및 석유제품이 4.1% 하락해 2016년 2월 이후 …
08-13
경제
캐나다 앨버타주의 2017년 경제성장률이 예상치를 훨씬 웃도는 2.9%로 전망돼 경제 회복의 청신호가 켜졌다. 공장판매가 8.4%, 소비자판매가 9.0%씩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0.5% 하락해 모든 지표가 경기 회복세를 나타…
08-13
경제
캐나다의 5월 실질 GDP가 1조7338억 달러로 전월대비 0.6% 오르며 7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 중에서도 에너지 업종이 4.6% 올라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으며,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에서 9월 추가 금리인상을 단…
08-13
경제
알버타주에서는 1만 4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져... 국내 경제가 지속적인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주요 경제지표 중 하나인 고용률에 있어서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신자…
08-13
사회/문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BC) 주가 산불 비상사태를 선포한 지 한 달이 넘어가는 가운데 새로운 산불이 추가 발생하는 등 불길이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200여 곳에 달했던 BC주 산불이 일부 잡…
08-13
경제
지난 한 달 동안에 캐나다 달러의 가치가 미화 대비 80센트 선으로 치솟을 정도로 급등한 가운데 이로 인해 최근에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고 있는 제조업체들이 어려움에 처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일고 있다. …
08-04
경제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물가가 매우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독 일부 품목의 경우에는 큰 폭으로 물가가 치솟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에 의하면 올해 6월의 …
08-04
경제
지난 몇 년 동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던 앨버타주의 경제가 본격적인 회복세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가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앨버타주의 올해 국…
08-04
경제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가 최신 보고서를 통해 국내 부동산시장에 여러 문제들이 있다는 강한 증거가 있다고 지적하며 따라서 향후에 주택시장이 큰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영기업인 모기지주택…
08-04
사회/문화
2016 인구센서스 캐나다의 1인 가구가 각종 가족 유형 중 역대 처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2일 지난해 실시한 인구센서스 결과 분석을 통해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가 28.2%…
08-03
사회/문화
실직 때문에 여자친구와 결혼이 취소될까 우려한 캐나다의 30대 남성이 “사실을 말하라”고 설득한 어머니와 형들을 석궁으로 살해했다가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남성은 최소 25년 후에나 가석방 자격이 주…
08-03
경제
국제유가 반등 및 FRB 금리동결 셰일 LNG 생산의 최적지로 불리는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BC)주 몬트니 지역의 수출터미널 등 개발 프로젝트가 사실상 존폐 기로에 놓였다. 몬트니는 BC와 앨커타에 걸쳐 분포하…
08-03
사회/문화
캐나다의 60대 남성이 9년 사이 거액 당첨금이 걸린 복권에 두 번이나 당첨돼 화제다. 퀘벡 주 퀘벡시티에 사는 줄 파랑(69)씨가 최근 ‘이집트 왕관’이라는 온라인 복권의 1등에 당첨돼 상금 122만2069캐나다달러(…
07-29
경제
캐나다의 가구 부채가 매우 높다는 경고성 자료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가구 부채가 증가하는 것 이상으로 캐나다인의 순자산의 규모가 더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라는 분…
07-29
경제
지난 5월 캐나다 경제성장률이 월간 기준 0.6%로 지난 6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28일 월간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 기간 성장률이 전달에 비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면서 …
07-29
경제
캐나다 경제가 시장 예상을 넘어서는 깜짝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캐나다 통계청은 5월 국내총생산(GDP)이 전달 대비 0.6%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기대치인 0.2%를 크게 넘어서는 수준이다.&n…
07-29
목록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