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172건, 최근 0 건 안내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경제]

연방 중앙은행 고위관계자, 연이어 금리인상 시사

글쓴이 : Reporter 날짜 : 2017-06-24 (토) 20:57 조회 : 44148
글주소 : http://wwe.cakonet.com/b/B04-1563
  • 고기원 부동산
  • 이미진
  • Tommy's Pizza
  • 코리아나 여행사
  • WS Media Solutions
  • Sambo Auto

최근 연방 중앙은행의 최고위 관계자들이 금리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연이어 발표함으로써, 오랫동안 변화가 없었던 국내 기준금리가 조만간 오르는 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연방 중앙은행의 스티븐 폴로즈 총재는 지난주에 CBC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국제유가로 인해 촉발된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했던 금리인하는 충분히 제 역할을 잘 수행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중앙은행은 2014년 하반기에 발생한 국제유가 폭락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취지에서 2015년에 금리를 두 차례나 인하한 바 있다. 그로 인해 기준금리는 0.5퍼센트로 낮춰진 상태이며, 현재에도 금리는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우호적인 경제지표들을 감안할 때, 이제는 중앙은행이 금리인상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관측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만일 금리를 올릴 경우 거의 7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가 인상되는 것이다.

폴로즈 총재는 TV 인터뷰를 통해 “경제가 회복세에 진입했는데, 특히 한 분야의 경제만 좋아진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분야에서 회복 기미가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은 샴페인을 터뜨릴 때가 아닌 것은 분명하지만, 2년 전에 우리가 단행했던 금리인하의 효과가 분명히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리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라고 진단했다.

폴로즈 총재가 방송에 출연해서 이러한 긍정적인 언급을 하기 바로 전날에는 연방 중앙은행의 2인자라 할 수 있는 부총재 역시도 금리인상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듯한 언급을 한 바 있다.

캐롤린 윌킨스 부총재는 현재 사상 최저수준으로 낮아진 금리가 아직도 필요한지 여부에 대해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으로써, 필요한 경우 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내용을 강하게 암시했다.

윌킨스 부총재의 이 언급은 중앙은행의 고위관계자가 근래 들어 최초로 금리인상에 관한 언급을 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다.

윌킨스 부총재는 경제가 광범위한 분야에서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말하며, 이는 국제유가가 하락한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덧붙였다.그는 “각종 경제지표로 인해 매우 고무되어 있다. 이제 소비자들은 모기지를 갱신할 때 금리가 지금보다 올라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부총재와 총재가 연이어 비슷한 내용의 언급을 하자 캐나다 달러는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즉시 반등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2월 말 이후 가장 높은 미화당 76센트선까지 급등하기까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폴로즈 총재가 여전히 경제에 몇 가지 불확실성이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은 금리인상이 아직 임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폴로즈 총재는 수출과 사업투자가 아직도 미진하다고 언급하면서도, 사업투자의 경우에는 최근에 개선되는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미국의 불확실한 정계로 인해 경제가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또 다른 불확실성의 하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앙은행의 이러한 일련의 발표로 인해 경제학자들은 향후의 금리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놓고 나름대로의 분석을 제기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매뉴라이프 매니지먼트사의 애널리스트 프란세스 도널드는 올해 연말까지 금리가 인상될 확률을 종전의 30퍼센트에서 60퍼센트로 크게 상향시켰다.

그는 “중앙은행의 최근의 기조를 볼 때, 올해가 가기 전에 한 차례의 금리인상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1fcac3fbc49b5725606e12791c6b245e_1498174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총 게시물 172건, 최근 0 건 안내
분류 제목 날짜
사회/문화
캐나다의 노동법이 크게 개정될 예정으로 알려진 가운데 고용부장관은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고 또한 파트타임 근로자들과 임시직 근로자들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것이 새로운 연방 노동법의 핵심적인 내용…
09-11
경제
캐나다의 제조업 매출이 5월에 큰 호조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특히 화학제품과 기계류, 그리고 목재관련 분야의 업종들이 예상을 뛰어 넘는 좋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
07-25
경제
캐나다의 부동산시장이 그동안의 침체에서 벗어나 반등하려는 기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도달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캐나다 부동산협회가 이번주 월…
07-25
경제
모두의 예상대로 캐나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동결했다. 스티븐 폴로즈 중앙은행 총재는 이번주 수요일에 열린 금리책정 회의에서 캐나다의 기준금리를 종전과 동일한 1.25퍼센트로 유지시킨다고 밝혔다. 이로써 …
04-26
경제
최근에 발표된 통계자료에 의하면 지난 한 해 동안에 외국기업들이 캐나다에 투자한 액수가 2010년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데에는 북미자유협정(NAFTA)의 개정을 …
03-11
경제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주 금요일에 발표한 최신 통계수치에 의하면 2017년의 캐나다 국내총생산(GDP)이 3퍼센트의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11년 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이자 2016년에 비해서 두 배나…
03-11
경제
지난해 12월에 캐나다의 부동산 판매량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주된 이유는 강화된 모기지 대출규정이 시행되기 전에 서둘러 집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시장으로 …
01-20
경제
캐나다의 저명한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상반기에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던 캐나다 경제가 올해에는 다소 잠잠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BC 이코노믹스 리서치의 수석 경제학자인 크레이…
01-08
경제
미국의 보호주의 무역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세제개혁이 캐나다의 경제에 불확실성을 가져다주고 있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환경 속에서도 캐나다 달러는 내년에 강세를 보일 …
01-08
경제
올해 캐나다 중앙은행은 몹시 바쁜 한 해를 기록했는데 무엇보다도 7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그것도 두 차례나 인상시킨 것은 캐나다 경제에 적지 않은 파급효과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연초에…
01-07
경제
중앙은행이 금리를 동결하자 외환시장에서 캐나다 달러가 0.5센트 이상 폭락하는 큰 약세를 보였다. 이번주 수요일에 중앙은행이 경제부진과 각종 위협요인들을 제시하며 금리를 동결한다고 발표하자 많은 경제…
12-12
경제
캐나다 중앙은행은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의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지난 2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했던 중앙은행은 이번 주 수요일 오전에 열린 금리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와 같은 1.00 퍼센…
10-31
사회/문화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인 CBRE에 따르면 국제유가 폭락으로 인해 지난 몇 년 동안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캘거리 지역의 사무실 임대시장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캘거리의 사무실 공실…
10-31
경제
올해 상반기에 기록적인 성장률을 기록한 캐나다의 경제가 다른 선진국들보다 좋은 실적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또 다시 발표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주에 발표한 최신자료에 따르면 캐나다의 올해와 내년…
10-23
사회/문화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총격사건이나 백악관에서 흘러나오는 인종차별주의적인 내용을 담은 언급 등으로 인해 일부 캐나다인들이 미국여행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밴쿠버의 시장전문가인 바브 저…
10-23
경제
지난 몇 달 동안 강세를 보여왔던 캐나다 달러가 다시 약세로 전환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실제로 한 때 미화 대비 83센트 가까이까지 폭등했던 캐나다 달러는 최근에 81센트 선으로 물러선 상태인데 일부 경…
09-26
경제
최근에 발표된 경제보고서에 따르면 내년에 캐나다의 일일 석유생산량이 500만 배럴에 근접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는데 이는 주요 석유생산국들 중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성장률인 것으로 분석…
09-26
경제
캐나다 통계청이 이번주 화요일에 발표한 최신자료에 의하면 올해 7월의 국내 제조업매출이 2달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의하면 제조업매출이 이렇게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주된 이…
09-26
사회/문화
최근에 호조를 보이고 있는 캐나다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새로운 일자리들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이 지난주에 발표한 최신자료에 의하면 캐나다의 일자리수는 8월에도 증가한 것으로 집…
09-16
경제
아시아-캐나다 서안 간 컨테이너 물동량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캐나다 프린스루퍼트항은 최근 7월 컨테이너 처리량이 수출입 모두 전년 동월 대비 11% 증가한 8만6000TEU였다고 발표했다. 캐나다는 밴쿠버항도 20%…
09-08
목록
 1  2  3  4  5  6  7  8  9  맨끝
캘거리한인회 캘거리한인라이온스클럽 캘거리실업인협회 캘거리여성한인회 Korean Art Club
Copyright ⓒ 2012-2017 CaKoNet. All rights reserved. Email: nick@wsmedia.ca Tel:403-771-1158